채권추심
검찰 vs 경찰, 협력인가 충돌인가? 수사권의 경계선을 파헤치다
김팀장채권추심상담소
2025. 10. 14. 12:34
검찰 vs 경찰, 협력인가 충돌인가? 수사권의 경계선을 파헤치다 – 김팀장채권추심상담소

수사 현장에서는 늘 긴장감이 흐릅니다.
사건이 접수되면 경찰이 움직이고, 어느 시점부터는 검찰이 개입합니다.
표면적으로는 “협력”이라 하지만, 실제로는 수사 지휘와 보완 요구 사이에서 첨예한 신경전이 벌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
I. 수사의 두 축, 검찰과 경찰의 역할 분리
예전에는 모든 사건이 검찰 중심으로 돌아갔습니다.
경찰이 수사하더라도 검사가 언제든 개입해 보완을 요구하거나 지휘할 수 있었죠.
하지만 제도 개편 이후, 경찰은 독자적 수사권을 가지게 되었고, 검찰은 주로 송치 후 공소 유지와 보완조사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부터입니다.
‘보완수사’라는 이름 아래 검찰이 사실상 수사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여전히 “누가 최종 결정권을 갖느냐”를 두고 다툼이 생깁니다.
법이 아니라, 실무에서의 경험과 조율이 중요해진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II. 수사 협력의 현실 – 보완 요구와 그 대응
검찰이 경찰에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면,
경찰은 가능한 한 신속히 보완조사를 진행해 결과를 회신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단순히 서류 몇 장을 더 내는 문제가 아니라,
사건의 방향을 바꾸는 결정적인 수사 행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보면, 검찰의 요구가 ‘지휘’처럼 받아들여질 때도 있습니다.
반대로, 경찰은 자신들의 판단권이 침해된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사건은 늦어지고, 피해자나 피의자 모두에게 불리한 결과가 생깁니다.
결국 핵심은 ‘협력’입니다.
검찰의 보완 요구가 합리적이라면 경찰이 신속히 대응해야 하고,
검찰 또한 불필요한 중복조사로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선을 지켜야 합니다.
⸻
III. 수사 과정에서 인권과 공정성의 균형
수사는 진실을 밝히는 과정이지만, 동시에 인권을 침해할 위험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검찰은 수사 과정에서 인권침해나 위법수사 정황이 있으면,
사건 기록을 요구하거나 시정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절차가 잘 작동하면,
무리한 조사나 부당한 압박 없이 사건의 본질만으로 판단이 가능해집니다.
즉, 단순히 “검찰이 경찰을 감시한다”가 아니라,
“수사기관 내부의 견제 장치”로 기능해야 하는 것입니다.
⸻
IV. 수사 현실에서 체감하는 변화
김팀장이 현장에서 느낀 바로는,
최근 몇 년 사이 검찰과 경찰의 관계는 확실히 변했습니다.
검찰이 직접 수사하는 사건은 줄었고, 경찰의 1차 수사 범위는 넓어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중요한 사건이나 사회적 파급력이 큰 사건에서는
검찰이 수사 전반을 검토하고 보완 요구를 내리는 일이 잦습니다.
이제는 권한의 다툼보다 결과의 정확성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서로의 권한을 인정하고, 사건의 진실을 찾는 방향으로 힘을 모아야 합니다.
그게 바로 국민이 체감하는 ‘공정한 수사’의 출발점이기 때문입니다.
⸻
V. 김팀장의 실무 조언
1. 형식보다 실질이 중요하다.
서류상 권한이 아니라 실제 사건 진행에서 누가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가 본질이다.
2. 보완수사는 ‘협력 행위’다.
보완요구를 거부하거나 지연하면 사건의 신뢰도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3. 수사 절차는 인권 보호의 장치이기도 하다.
모든 수사 행위는 기록으로 남기고,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
▢ 약력
• 25년 경력의 채권추심 전문가
• 2006년 국가공인신용관리사 합격
• 2025년 합법적 신용정보회사 새출발
• 전국에서 수천 건의 대금 회수 성공 경험
• 법적 절차 및 강제집행 전문 (거래 법무사 협업)
• 고려신용정보 (2004~2025) 전국 추심 팀장 역임